폐목재·플라스틱 판자를 재활용한 긴급 대형 쉼터 실험
1. 폐목재·플라스틱판 재활용 대형쉼터 : 구조설계 철학과 필요성 급속한 도시화와 재난 위기 시대, 폐목재와 플라스틱 판은 대형 임시 쉼터 실험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재료입니다. 건설현장, 철거주택, 대형가전수거소 등에서 발생하는 폐목재와 플라스틱 판은 본래 단단한 구조체였기 때문에 습기, 냉기, 진동에 특히 강한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폐목재는 바닥프레임, 세로지지대, 벽구조물의 주재료로 활용되며, 플라스틱판은 지붕이나 외벽, 바닥방습·방수층 등에서 우수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플라스틱은 습기에 강하고 가벼운 무게로 대형 구조물의 운용성을 높이며 각종 재난대피소, 노숙인 임시쉼터, 재난현장 캠프 등으로 실전적 가치를 더하고 있습니다. 이런 재료들이 모이면 '필요한 자원은 현장에 있다'는 생존 건축..
비상상황을 위한 하룻밤용 땅바닥 방수침상 DIY
1. 바닥 방수 침대의 구조 철학과 기본 설계 원칙 비상 상황 속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하룻밤 용지 바닥 방수 침대는 생존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목표로 합니다. 야외에서는 비, 이슬, 지면의 습기가 빠르게 몸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바닥에서의 습기 '차단'과 '단열'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무엇보다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조립할 수 있어야 실전의 쓰임새가 높아집니다. 침대 구조의 가장 기본적인 기본은 '땅 위에 두꺼운 완충층'을 설치하는 것인데, 현장에서는 낙엽, 솔잎, 마른풀, 신문지, 나뭇가지, 비닐, 우의, 방수포 등 상황에 따라 섞어 쓸 수 있는 모든 자연재 및 간이 인공재를 활용합니다. 나뭇가지, 가는 나무 등은 바닥에 평행하게 세워 건식 프레임을 만들고 그 위에 방수성이 강한 비닐 또는 방수포..
한밤중 조난 상황, 가장 빠른 자연재 은신처 구축순서
1. 한밤의 조난: 환경파악과 우선행동의 핵심 한밤중의 조난 상황에서 임시 은신처를 구축하려면 시간, 위치, 기상, 자원의 판단이 우선입니다. 일단 멈춰 서서 주위 환경을 빠르게 스캔합니다.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랜턴, 라이터, 스마트폰 등의 최소한의 조명 도구부터 시작하십시오. 현재 위치가 산, 들, 강변, 숲, 해안인지 구분하여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자연 장애물(나무, 바위, 노출된 회랑, 어린잎 등)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즉 '어디서 안전을 확보할 것인가'가 결정되면 빠른 대처가 가능합니다. 기온 변화가 큰 심야에는 저체온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침착하게 위도 아래 체온·습기·바람을 막을 수 있는 '기초적 피난지점'을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가장 피해야 할 곳은 저지대 습지, 거센 물길과 빗물이 고인 움..